2025년, 정부는 창업 초기 소상공인의 고정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전기·가스·수도요금과 4대 보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포인트 50만 원을 지원합니다.
이 사업은 단순한 세금 공제가 아니라, 카드에 바로 적립되어 실사용에 차감되는 방식의 실질 지원제도로, 이름하여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입니다.
하지만 신청 대상과 방식이 까다로울 수 있어 제대로 알고 신청하지 않으면 혜택을 놓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신 공고문을 바탕으로, 신청 조건부터 준비서류, 카드 등록까지 정확하고 순서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누가 받을 수 있나요? – 신청 대상
연 매출액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공과금, 4대 보험료 비용을 크레딧으로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 요건
- 24년 또는 25년 연 매출액 0원 초과 3억원 이하
- 현재 영업 중인 소상공인
- 단 국세청을 통해 매출액 확인이 불가능한 소상공인은 스스로 매출액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제출
25년 개업한 소상공인 중 25년 상반기 부가가치세 신고를 하지 않은 소상공인과
법인 면세사업자는 다음 4종의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1. 카드 매출 확인서
2. 세금계산서 내역
3. 현금영수증 발행내역
4. 주 업종코드
👉 연 환산 매출 계산법
예: 2025년 3월 개업, 5~6월 매출 600만 원 → 600만 ÷ 2개월 × 12 = 연 매출 3,600만 원 → 지원 가능
신청 불가 업종
- 도박·유흥·사행성 관련 업종
- 담배 중개 및 유통업
- 가상자산 매매업
- 성인용품 및 향락 업종 등
※ 세부 업종은 [붙임 2 업종 제한 리스트]를 반드시 참고하세요.
💳 어떤 혜택이 있나요? – 지원 내용
지원은 50만 원 상당의 디지털 포인트(크레딧)로 지급되며, 사업자가 사용하는 공과금 및 4대 보험료 납부 시 자동 차감됩니다.
사용 가능 항목
- 전기요금 (한전)
- 가스요금 (지역별 도시가스)
- 수도요금 (지자체 상·하수도 사업소)
- 4대 보험료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 사업자 본인 명의 카드만 등록 가능하며, 카드 결제 시 해당 항목에 한해 차감됩니다.
지원 방식
- 참여 카드사 중 하나 선택 (국민, 농협, BC, 롯데,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카드)
- 카드사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해당 카드에 크레딧 등록
- 공과금 또는 4대 보험료 결제 시 우선 차감
- 유흥업소, 음식점 등 일반 소비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신청 기간은 언제인가요?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은 5부제 운영을 포함하여 정해진 기간에 신청해야 합니다.
구분 | 일정 |
5부제 신청 기간 | 2025년 7월 14일(월) ~ 7월 18일(금) |
자유 신청 기간 | 2025년 7월 19일(토) ~ 11월 28일(금) 18시까지 |
사용 가능 기간 |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가능 / 기한 후 잔액은 국고로 회수 |
5부제 신청 요일별 안내
신청일 |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
7월 14일(월) | 4, 9 |
7월 15일(화) | 0, 5 |
7월 16일(수) | 1, 6 |
7월 17일(목) | 2, 7 |
7월 18일(금) | 3, 8 |
※ 자유신청 기간(7.19~7.25)에는 끝자리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
📝 어떻게 신청하나요? – 온라인 신청 방법
1. 접속
- 공식 사이트: 부담경감크레딧.kr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통합민원센터 (1533-0600)
2. 정보 제공 및 인증
-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 정보제공 동의
- 본인 인증 (휴대폰 인증 또는 공동인증서)
3. 정보 입력
- 업체명
- 개업일자
- 주소, 연락처 등 신청자 정보 입력
4. 필요서류 제출
국세청 부가세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다음 중 하나 이상 매출 증빙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 카드매출 확인서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 현금영수증 발행 내역
- 주 업종 코드
✅ 모두 홈택스 > 현금영수증 조회 / 세금계산서 조회 메뉴에서 출력 가능
🧾 카드 등록 및 사용법
1. 대상자 선정 통보
신청 완료 후, 알림톡으로 선정 결과가 통보됩니다.
2. 카드사 선택
9개 참여 카드사 중 1곳 선택 → 해당 카드사의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카드 등록
3. 크레딧 지급
등록한 카드에 디지털 포인트 50만 원 지급
4. 사용
- 전기·가스·수도요금 자동이체 또는 납부 시 → 크레딧에서 자동 차감
- 4대 보험 납부 시 사업자 본인 명의로 결제한 경우에 한해 적용
📌 식당·마트 등 일반 상점 결제에는 사용 불가
📌 예시로 음식점에서의 결제나 사적 소비는 크레딧 차감 대상이 아닙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 크레딧을 일반 소비에도 쓸 수 있나요?
A. 안 됩니다. 전기·가스·수도요금, 4대 보험료 납부에만 사용 가능하며 일반 소비에는 차감되지 않습니다.
Q. 카드가 없는 경우엔?
A. 참여 카드사 중 하나에서 신규 발급 후 등록 가능하며, 카드 수령 이후 등록해도 됩니다.
Q. 다른 지원사업과 중복 가능한가요?
A. 일부는 중복 가능하나, 고용보험료 지원사업과 같이 동일 항목을 지원하는 사업과는 중복 지원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 꼭 기억할 키워드 및 체크리스트
☑ 2025년 개업 여부 확인
☑ 상반기 부가세 신고 여부 체크
☑ 매출 증빙자료 준비
☑ 신청 기간 캘린더에 표시
☑ 참여 카드사 선택 및 등록
🧡 마무리하며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은 어렵고 복잡한 절차가 아니라,
정확한 정보만 알고 있으면 10분 내에 신청 가능한 정책입니다.
1년 이내에 창업하신 소상공인이라면, 이번만큼은 꼭 신청해서
전기요금, 가스요금, 국민연금 부담을 줄여보세요.
혼자 하시기 어렵다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센터를 방문하셔도 됩니다.
73개 지역센터 연락처는 공고문 ‘붙임 3’을 참고하세요.
지금 바로 준비해 두시면, 7월 14일부터 25일까지 열리는 신청 기간에 여유 있게 완료하실 수 있습니다!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지하철 에어컨 민원 (문자/ 또타지하철 앱 이용하기) (0) | 2025.07.20 |
---|---|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언제 시작! (0) | 2025.07.14 |
2025 전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정 (총정리) (0) | 2025.07.12 |
2025 전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가능업종+불가능업종) (0) | 2025.07.12 |
2025 전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5만 원 추가! (0)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