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선포에대해 국회에서는 본회의 재석 190명 국회의원이 모여 계엄해제 요구안을 발의 하였습니다. 그리고 190명 만장일치로 의결되었습니다. 현재도 모든 국회의원은 본회의장에 남아서 상황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만장일치 의결이란?
'의결'은 어떤 사안에 대해 공식적으로 결정하거나 결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주로 회의나 의회에서 특정 안건에 대해 찬반을 묻고, 그 결과에 따라 결정을 내리는 절차를 가리킵니다. 의결은 일반적으로 투표를 통해 이루어지며, 다수의 의견에 따라 최종 결론이 도출됩니다.
특정 사안에 대해 집단이나 조직이 공식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의미하며, 주로 법적 또는 규정적 절차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의결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합니다.
1. 안건 제안: 의결의 첫 단계는 특정 사안이나 안건이 제안되는 것입니다. 이는 회의나 의회에서 논의할 주제를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예시 : 비상계엄선포 포고령에 대해 해제 요구안을 발의)
2. 토론: 제안된 안건에 대해 구성원들이 의견을 나누고, 찬반 논의를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과 정보가 공유되어, 의사결정에 필요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집니다. (예시: 국회의원들이 모여 본회의를 통해 요구안에 대해 토론함)
3. 투표: 토론이 끝난 후, 안건에 대한 찬반을 묻는 투표가 진행됩니다. 투표 방식은 비밀 투표, 공개 투표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각 조직의 규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예시 : 국회의사당에 참석한 국회의원들이 투표를 함 )
4. 결과 발표: 투표 결과에 따라 안건이 채택되거나 기각됩니다. 이 결과는 공식적으로 기록되며, 이후의 행동이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 예시: 이번 비상계엄선포에 대해 해제 요구안을 발의했고 국회 참석한 국회의원 190명 만장일치로 해제요구안 가결 )
5. 법적 효력: 의결은 해당 조직의 규정이나 법률에 따라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결된 사항은 구성원이나 관련 당사자에게 구속력을 가지며, 이행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의결은 민주적 절차의 중요한 부분으로, 조직의 운영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